본문 바로가기
문제 해결의 신비한 힘: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탄생

#4 문제 해결 과정

by 데시벨보안관 2023. 4. 6.

문제 해결 과정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입니다.

이 과정에는 문제 인식, 문제 분석, 해결책 도출, 실행 및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.

각 단계에서는 다양한 도구와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,

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.


  1. 문제 인식: 문제 해결 과정의 첫 단계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입니다.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이 단계에서는 문제가 무엇인지, 왜 문제인지 등을 파악합니다.
  2. 문제 분석: 문제 인식 후에는 문제를 분석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,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합니다.
  3. 해결책 도출: 문제를 분석한 후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을 도출합니다.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만들어냅니다.
  4. 실행: 도출된 해결책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고 실행합니다.
             계획을 세우고, 일정을 조율하며, 협업을 통해 실행합니다.
  5. 평가: 해결책을 실행한 후에는 결과를 평가합니다.
              결과가 목표에 부합하는지, 예상했던 성과가 나타났는지 등을 평가합니다.
             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선점을 찾고,  문제 해결 과정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 

문제인식단계는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찾는 과정입니다.

우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너무나 많습니다.

다만 중요한건 어떤것이 내 삶에 우선이 되는지.

우선순위를 정하는게 중요합니다.

이렇게 우선순위를 통해 문제를 정하고 나면 

다음단계인 문제분석 과정입니다.

문제분석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5why, fishbone chart, mind mapping, brain storming, 징검다리 기법 등등이 있습니다.

다음 단계는 해결책 도출 과정입니다.

이 단계에서는 우리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,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봐야 합니다.

여기서는 P&G 사의 민 바사더(Min Basadur) 분의 질문법 "How Might We?"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"어떻게 하면 우리가 ~을 할 수 있을까?" 라는 질문을 통해 우리는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다음 단계는 실행 단계입니다.

해결책을 찾았으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정해야 합니다.

여기에는 정확한 계획 수립이 동반됩니다.

정확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 

SMART 계획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간략히 설명 드리자면 

S(specific : 구체적인),

M(Measuralbe : 측정가능한),

A(Achievable : 달성가능),

R(Result-oriented : 현실적인),

T(Time-based : 시간기한) 

이 틀에 맞춰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입니다.

마지막으로 평가를 하는 단계입니다.

여기서는  feed forward 방법을 추천드립니다.

피드백와 유사하지만 반대의 의미를 지닙니다.

피드백이라하면,

해결과정을 뒤돌아보고 '이것저것이 잘 되었고, 잘 안되었다'라는 평가를 하는 것이라면

피드포워드는

'앞으로 이렇게 하면 좋겠다' 라는 긍정의 방향으로 평가를 하는 것입니다.

 

이외에도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 자세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
오늘도 창의로운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